Home
Psmin1994
X

HTTP

HTTP에 대해 알아보자.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초기에는 HTML과 같은 하이퍼미디어 문서를 주로 전송했지만, 최근에는 Plain text, JSON, XML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도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프로토콜입니다. 초기에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디자인되었지만 최...

호스팅 (Hosting)

호스팅에 대해 알아보자. 호스팅 (Hosting) 호스팅이란 서버의 전체 혹은 일부를 이용할 수 있도록 대여해주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개인이 24시간 내내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서버를 운영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전문 업체의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호스팅의 종류 웹 호스팅 (= 공유 호스팅, = 사이트...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Framework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개발 도구로 개발에서 필요한 기능과 기본 틀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빠르고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즉, 개발자가 원하는 기능 구현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일정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뼈대를 의미합니다. 프레임워크 특징 제어 역전 (IoC) 프레임워크는 제어...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DNS에 대해 알아보자. Domain Domain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IP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기 쉽게 문자로 만든 인터넷 주소입니다. Domain Name은 위 그림에서 ‘https://’ 과 ‘www.’ 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을 말합니다. 또한, 우측에서 부터 최상위 도메인(Top Level Domain), 2차 도메인(Sec...

브라우저의 작동 원리

브라우저의 작동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Web Browser 웹 브라우저란 Web Server와 쌍방향 통신하고 HTML, CSS, JS 파일을 해석하여 내용을 보여주는 GUI 기반의 응용 소프트웨어입니다. 주요 기능 사용자가 필요한 자원을 웹 서버에 요청하면 응답을 받아 이를 해석한 후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자원은 ...

애자일 방법론 (Agile)

워터폴 방법론 (Waterfall)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로 폭포수 방법론이라고도 말합니다. 요구사항 정의(설계) → 디자인 → 개발 → 테스트 → 배포 위 순서대로 진행하며 폭포수가 떨어지는 것처럼 순차적으로 ‘일련의 단계’로 나누어 개발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워터폴 방법론의 단점 각 단계가 종결되어야 다음 단...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할까?

인터넷의 개념과 작동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인터넷이란? inter(~간의) 와 ‘net(네크워크)’ 의 합성어로 네트워크간의 를 말하며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한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즉, 인터넷읜 네트워크간의 연결,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하나의 네트워크를 한 대의 컴퓨터로 생각한다면 컴퓨터간의 연결을 인터넷이라고 ...

useRef

useRef DOM 요소나 변수 값을 저장하거나 React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되어도 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훅입니다. const myRef = useRef(initialValue); myRef.current — 실제 저장값 DOM 접근 DOM 요소에 연결해서 focus, scroll 등 직접 제어 가능 import {...

Tailwind CSS + shadcn/ui

##

px과 rem

px 사용 Tailwind CSS는 기본적으로 rem 단위를 사용하여 반응형 디자인을 고려한 크기 조정에 유리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px 단위를 사용하여 더 세밀한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in-w-[320px]와 같은 방식으로 px 단위를 사용하면 정확한 픽셀 크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px -> rem 변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