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Psmin1994
X

상태 코드 Status Code

Statue Code HTTP 응답 상태 코드는 특정 HTTP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알려줍니다. 상태 코드는 3자리 숫자로 만들어져 있으며, 첫번째 자리는 1에서 5까지 제공됩니다. 첫번째 자리가 4와 5인 경우는 정상적인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사이트 관리자가 즉시 알아야 하는 정보입니다. 자주 사용되는 상태 코드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Web Server, Was, Reverse Proxy

Web Server, Was, Reverse Proxy에 대해 알아보자. Web Server 브라우저와 같은 Client로부터 HTTP 프로토콜 요청을 받으면 HTML 문서 등의 정적 웹 페이지를 응답해주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Apache, NginX, WebtoB 등이 있으며, 동적 컨텐츠를 요청 받으면 WAS에게 요청을 ...

사용자 스토리 (User Story)

애자일 방법론에서 사용자 스토리에 대해 알아보자. 페르소나 (Persona) 페르소나(persona)는 서비스를 사용할 만한 다양한 사용자 유형들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을 말합니다. 서비스를 개발하기전 사용자들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특정 상황이나 환경에서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할지 예측하기위해 설정합니다. 페르소나를 리서치를 바탕으로 ...

사용자 스토리 도출

사용자 스토리를 작성해보자. 페르소나 설정 사용자 시나리오 (User Scenarios) 사용자가 어떤 과정으로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순서대로 정리한 것을 말합니다. 서비스를 기획하는 과정에서 유저 시나리오를 통해 서비스에 필요한 기능을 찾게 됩니다. 사용자 시나리오 작성법

TCP/IP 프로토콜 4계층

TCP/IP 프로토콜 4계층에 대해 알아보자. TCP/IP는 무엇일까요? TCP는 OSI 7 계층 중 4 계층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이고, IP는 3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입니다. TCP/IP는 인터넷 통신 세계에서 가장 많이,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TCP와 IP 프로토콜을 주축으로 한 프로토콜 집합을 말합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서로...

REST, REST API, RESTful API

REST, REST API에 대해 알아보자.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ST란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고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것을 말합니다. 어떤 자원에 대해 CRUD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URI로 GET, POST 등의 방식(Method)을 사용하여 요청을 보내며, 요청을 위한 자원은 ...

계층별 주요 프로토콜

계층별 주요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계층별 주요 프로토콜 Ethernet Protocol (OSI - 2 계층, TCP/IP - 1 계층) 이더넷 (Ethernet)은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LAN에서 많이 활용되는 기술입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기기들이 MAC 주소를 이용해 상호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만들...

OSI 7 계층 참조 모델

OSI 7 계층 참조 모델에 대해 알아보자. OSI 7 계층 참조 모델이란? OSI 참조 모델(Open System Interconnection)은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안하는 프로토콜이며, 네트워크 표준 모델입니다.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나눈 것으로 1계층 (물리 계층) ~ 7계층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JS에서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알아보자.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bject Oriented Programming) 로직을 상태와 행위로 이루어진 객체로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즉, 변수와 메서드를 그룹핑한 것입니다. 여러 객체들을 조립해 하나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OOP라고 합니다. 프로그램을 객체 단위로 쪼개서 개발할 수 있기...

Jira 사용법